x220t-4298CW8 메모리 관련 기록

 

 

 

기존에 인스톨된 램은 RAMAXEL pc3-10600 4G x 1ea 이였다. 엘피다칩을 사용하는..

 

 

 

지원 사양은 pc3-10600이였으나 혹시모를 기변등을 대비하여 pc3-12800으로 사고 싶었다.

인터넷을 검색했으나 하위호환가능 하다는 말만 있었고, 확실하게 되는지 여부가 나오지 않았는데,

pc3-10600 과 pc3-12800 사이에서 갈등하다 용산가서 직접 pc3-12800 8G 메모리 꼽아보고 샀다. -_-;;

CMOS에서 인식확인 및 윈도우 진입까지 확인해야 된다. (블루스크린 뜰수 있음)

 

 

samsung electronic pc3-12800 8G (16모듈) x 2ea 으로 업그레이드 완료

 

물론 동작클럭은 1333 ^^

 

Posted by 에시드 :

 

 

 

 sandisk extreme z80 64gb

 

VS

 

 adata s102 pro 16gb

 

 

 

들어가기 앞서 메인보드가 USB3.0을 지원 하지 않아 대신에 USB3.0 컨트롤러 확장카드 NEXT-212U3 PCI-E를 사용하였다. 

NEC D720200AF1 컨트롤러 칩셋 탑재한 제품으로 5Gbps 지원한다고 한다.

확장카드의 PCI-Express x1 의 대역대가 부족하여 네이티브 USB3.0 보단 질이 떨어졌다.

 

 

 NEXT-212U3 PCI-E

 

 

 

 

USB2.0 LG xtick UM5 8G도 측정해봤다.

 

 

 

z80이 단연 압승이였다. usb2.0 환경일시에도 쓰기속도가 압도적이다.

USB3.0 환경은 USB3.0 확장카드로 테스트해 본 것이고 USB2.0 환경은 p45 칩셋 메인보드의 콘트롤러이다.

windows7 64bit 에서 테스트 하였다.  

Posted by 에시드 :

출처: http://tpholic.com/xe/5226885

 

준비물 : USB 부팅이 가능한 노트북, USB 메모리 4기가 이상

 

0. 먼저 데몬을 깔고 가상DVD롬을 만들어 두시구 윈도우 이미지 파일을 마운트 시켜둡니다 (Y 드라이브라 가정)

 

1. USB메모리를 노트북에 연결합니다 (X 드라이브라 가정)

 

2. "제어판-관리도구-컴퓨터관리-디스크관리" 에 들어갑니다
USB 메모리(X 드라이브라 가정)를 오른쪽 버튼 클릭하여 NTFS로 포맷합니다

 

3. 윈도우 시작버튼을 클릭하시면 "실행" 또는 "커맨드창"이 보입니다

[아래의 명령어 치실때 " "(큰따옴표) 안의 영어만 치셔야해요~^^]

"cmd"라고 칩니다 (그러면 도스창이 뜨죠)

"diskpart"라고 칩니다
"list disk"라고 칩니다 (여기서 디스크 번호 확인해 두세요 : USB 메모리의 파티션 번호를 확인)
"select disk X"라고 칩니다 (위에서 확인한 디스크 번호입력)
"clean"라고 칩니다
"create partition primary"라고 칩니다
"select partition 1"라고 칩니다
"active"라고 칩니다
"exit"라고 칩니다

그러면 diskpart 창을 빠져나오면서 다시한번 포맷할거냐고 묻는데요...

포맷하세요(NTFS로요...) => 안해도 상관은 없을듯한데 하는게 좋을듯해서요..^^;

 

4. 도스창이 아직 떠있는 상태에서 다음 명령을 순서대로 치세요

[아래의 명령어 치실때 " "(큰따옴표) 안의 영어만 치셔야해요~^^]

"Y:" (윈도우 이미지가 마운트되어 있는 드라이브입니다)
"cd boot "라고 칩니다
"bootsect /nt60 X: "라고 칩니다

 

5. 그 상태에서 다음 명령을 쳐 넣으세요~
" xcopy Y:\ X:\ /cherky " 라고 칩니다

(그러면 윈도우 이미지 파일을 USB메모리에 복사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여기서 시간이 약간 걸리죠 ^^)

 

여기까지가 부팅가능한 USB 메모리 만들기입니다 ^^

이젠 재부팅해서 USB 메모리로 부팅을 하면

외장 시디롬을 사용하는 것처럼 윈도우를 설치하실 수 있으세요~ ㅎㅎ

 

부팅순서 바꾸는건 다음 순서대로 하시면 되요

1. 노트북 켠다

2. 초기화면에서 THINK VANTAGE(녹색) 버튼 누른다

3. F1 누른다 (여기에서 바이오스 셋업화면으로 들어갑니다)

4. Startup 메뉴로 이동

5. Boot 메뉴로 이동

6. "USB HDD" 요녀석을 "ATA HDD0"보다 앞쪽으로 이동시켜 두시면 부팅시 노트북 하드가 아닌 USB 메모리로 먼저 부팅하게 됩니다 ^^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7 프로페셔널 언어팩 설치  (0) 2013.03.10
파일 일괄 변경 쉘스크립트  (0) 2012.10.09
윈도우 cpl(control panel) , msc  (0) 2012.09.19
MinGW  (0) 2011.12.21
locale 설정  (0) 2011.08.10
Posted by 에시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