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에 해당되는 글 104건

  1. 2012.05.18 JSTL 숫자 포맷
  2. 2012.04.06 이클립스 단축키
  3. 2012.04.02 subversion 설치

JSTL 숫자 포맷

2012. 5. 18. 15:34 from JAVA

parameter 값 받기#

 

${paramValues['parameter name']}  

 

<c:set> 태그와 함께 사용 하면 

  1. <c:set var="status"    value="${paramValues['status']      }"/>

 

 

 

Loop 문 사용#

 

  1.     <c:forEach var="status" items="${sStatus}" varStatus="loop" >
           <c:out value="${loop.count}">
        </c:forEach>

 

ㅇ attribute 내용

attribute 설명
var 루프 내에서 사용될 래퍼런스 아이디
items 루프의 소스값 아마도 Array를 상속받은 객체이거나 혹은 Object[]형태의 배열일 것이다
begin 시작값
end 마지막 값
step 증가 숫자
varStatus 루프 상태를 알려주는 래퍼런스 아이디

 

DataSource 가져오기#

 

다음 한 문장으로 정의 됨

  1.     <sql:setDataSource
             dataSource="jdbc/mysql"/>

 

ㅇ 태그속성

Attribute 설명
driver 등록된 JDBC 드라이브 클래스 명
url 데이타베이스 접속을 위한 JDBC URL
user 사용자명
password 암호
dataSource WAS에 등록된 DataSource 명
var 참조될 아이디
scope  

 

트랜잭션 처리#

 

쿼리 update 가 일어 나는 <sql:update> 태그를 <sql:transaction> 태그로 감싸주면 된다.

 

 

데이타베이스 조회#

 

ㅇ <sql:query> 태그를 이용하여 쿼리문을 작성 한다.

  1.         <sql:query var="result">
                SELECT WORD_ID      
                     , SHORT_INTRO                        
                     , NO_GOOD_ID
                     , SEE_ALSO
                     , RELATION_SITE
                  FROM WORD_LIB
  2.              WHERE WORD_ID = ?
                  <sql:param value="${param_value}" />
            </sql:query>

 

ㅇ <c:forEach> 태그를 이용하여 화면에 출력 

  1.         <c:forEach items="${result.rows}" var="row">
            <TR>
                <TD/>
                <TD/>
                <TD><c:out value="${row.WORD_ID}"       /></TD>
                <TD><c:out value="${row.SHORT_INTRO}"   /></TD>           
                <TD><c:out value="${row.NO_GOOD_ID}"    /></TD>
                <TD><c:out value="${row.SEE_ALSO}"      /></TD>
                <TD><c:out value="${row.RELATION_SITE}" /></TD>
            </TR>
            </c:forEach>

 

 

ㅇ 전체 소스

  1.     <sql:setDataSource
             dataSource="jdbc/mysql"/>
            
        <sql:query var="result">
            SELECT WORD_ID      
                 , SHORT_INTRO                        
                 , NO_GOOD_ID
                 , SEE_ALSO
                 , RELATION_SITE
              FROM WORD_LIB
        </sql:query>
       
       
        <SHEET>   
            <DATA>
                <c:forEach items="${result.rows}" var="row">
                <TR>
                    <TD/>
                    <TD/>
                    <TD><c:out value="${row.WORD_ID}" /></TD>
                    <TD><c:out value="${row.SHORT_INTRO}" /></TD>
                   
                    <TD><c:out value="${row.NO_GOOD_ID}" /></TD>
                    <TD><c:out value="${row.SEE_ALSO}" /></TD>
                    <TD><c:out value="${row.RELATION_SITE}" /></TD>
                </TR>
                </c:forEach>
            </DATA>
       
        </SHEET>

 

 

데이타베이스 등록#

 

ㅇ <sql:update> 태그를 이용 등록 쿼리를 수행 한다

  1.                     <sql:update var="count">
                            INSERT INTO 'WORD_LIB'
                            (WORD_ID,
                             SHORT_INTRO,
                             NO_GOOD_ID,
                             SEE_ALSO,
                             RELATION_SITE)
                            VALUES
                            (?,?,?,?,?)
                            <sql:param value="${word_id      [loop.count-1]}" />
                            <sql:param value="${short_intro  [loop.count-1]}" />
                            <sql:param value="${no_good_id   [loop.count-1]}" />
                            <sql:param value="${see_also     [loop.count-1]}" />
                            <sql:param value="${relation_site[loop.count-1]}" />
                        </sql:update>

 

ㅇ 트랜잭션 처리가 필요 하다면

       <sql:transaction> 태그를 감싸주면 된다.

 

 

숫자를 통화단위 포멧으로#

 

<fmt:formatNumber> 태그를 이용하여 숫자형 통화단위 포멧을 원하는 형태로 쉽게 출력 할 수 있다.

  1. <fmt:formatNumber value="1234567" pattern="#,###.####" />                       
    <fmt:formatNumber value="1234567" pattern="#,###.####$" />                     
    <fmt:formatNumber value="1234567" pattern="#,###.####" maxIntegerDigits="2"/>   
    <fmt:formatNumber value="1234567" pattern="#,###.####" minFractionDigits="2"/>  

 

결과

  1. 1,234,567
    1,234,567$
    67
    1,234,567.00

 

ㅇ 태그 속성

attribute 설명
value Number valut to display
type NUMBER, CURRENCY, PERCENT
pattern 보여줄 포멧의 패턴
currencyCode type="currency"일때 통화 코드
currencySymbol type="currency"일때 통화 심볼
groupingUsed 그룹넘버인지 아닌지
maxIntegerDigits 소숫점 이상 최대 자리수
minIntegerDigits 소숫점 이하 최소 자리수
maxFractionDigits 소숫점 이하 최대 자리수
minFactionDigits 소숫점 이하 최소 자리수
var 변수명
scope scope

 

 

통화단위 포멧의 숫자를 숫자형으로#

 

<fmt:parseNumber/> 태그를 이용하여 통화단위로 나타나는 숫자로 원래 모습으로 되돌려 놓는다.

 

  1. <fmt:parseNumber  value="1,234,567" pattern="#,###" var="money"/>
    <c:out value="${money}"/>
  2. 결과는
  3. 1234567

 

 

ㅇ 태그 속성

 attribute 설명
value 파싱 당할 숫자의 값
type number, currency, percent
parseLocale 파싱할때 사용할 Locale
integerOnly Integer(ture)인지, floating-point(false)인지
pattern 파싱 패턴
var 변수명
scope  

 

 

날짜를 날짜형 포멧으로#

 

<fmt:formatDate/>

Date 객체를 원하는 날짜형 포멧으로 변경하여 출력 할 수 있다.

  1. <fmt:formatDate value="${date}" pattern="yyyy/MM/dd hh:mm"/>
  2. 결과
  3. 2004/01/01 12:34

 

 

ㅇ 태그 속성

Attribute 설명
value  날짜 객체
type DATE, TIME, BOTH
dateStyle FULL, LONG, MEDIUM, SHORT, DEFAULT
timeStyle FULL, LONG, MEDIUM, SHORT, DEFAULT
pattern 날짜 패턴
timeZone 출력된 날짜의 TimeZone
var 변수
scope  

 

 

 

날짜형 포멧을 날짜객체로#

 

<fmt:parseDate /> 태그를 이용하여 날짜형 스트링값을 날짜 객체로 변환 할 수 있다

  1. <fmt:parseDate var="date" value="200401011234" pattern="yyyyMMddhhmm"/>

 

 

 

ㅇ 태그 속성

Attribute 설명
value 날짜
type DATE, TIME, BOTH
dateStyle FULL, LONG, MEDIUM, SHORT, DEFAULT
timeStyle FULL, LONG, MEDIUM, SHORT, DEFAULT
parseLocate 파싱 때 사용할 Locale
pattern 파싱할 패턴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groovy와 java의 차이점  (0) 2012.08.28
OOM 발생시 heap Dump 옵션  (0) 2012.08.14
이클립스 단축키  (0) 2012.04.06
[Java] 현재 시스템의 IPv4기반의 IP주소 가져오기 ; loopback주소 문제  (0) 2012.02.14
JAVA 형변환  (0) 2012.02.06
Posted by 에시드 :

이클립스 단축키

2012. 4. 6. 12:20 from JAVA

코드 정렬 : Ctrl + Shift + F  (source → format  → document)

 

----- 실행 -----

Ctrl + F11 : 바로 전에 실행했던 클래스 실행

 

----- 소스 네비게이션 -----

Ctrl + 마우스커서(혹은 F3) : 클래스나 메소드 혹은 멤버를 상세하게 검색하고자 할때

Alt + Left, Alt + Right : 이후, 이전

Ctrl + O : 해당 소스의 메소드 리스트를 확인하려 할때

F4 : 클래스명을 선택하고 누르면 해당 클래스의 Hierarchy 를 볼 수 있다.


Alt + <-(->) : 이전(다음) 작업 화면

 

----- 문자열 찾기 -----

Ctrl + K : 찾고자 하는 문자열을 블럭으로 설정한 후 키를 누른다.

Ctrl + Shift + K : 역으로 찾고자 하는 문자열을 찾아감.

Ctrl + J : 입력하면서 찾을 수 있음.

Ctrl + Shift + J : 입력하면서 거꾸로 찾아갈 수 있음.

Ctrl + F : 기본적으로 찾기

 

----- 소스 편집 -----

Ctrl + Space : 입력 보조장치(Content Assistance) 강제 호출 => 입력하는 도중엔 언제라도 강제 호출 가능하다.

F2 : 컴파일 에러의 빨간줄에 커서를 갖져다가 이 키를 누르면 에러의 원인에 대한 힌트를 제공한다.

Ctrl + L : 원하는 소스 라인으로 이동

   로컬 히스토리 기능을 이용하면 이전에 편집했던 내용으로 변환이 가능하다.

Ctrl + Shift + Space : 메소드의 가로안에 커서를 놓고 이 키를 누르면 파라미터 타입 힌트를 볼 수 있다.

Ctrl + D : 한줄 삭제

Ctrl + W : 파일 닫기

Ctrl + I : 들여쓰기 자동 수정

Ctrl + Shift + / : 블록 주석(/* */)

Ctrl + Shift + \ : 블록 주석 제거

Ctrl + /여러줄이 한꺼번에 주석처리됨. 주석 해제하려면 반대로 하면 된다.

Alt + Up(Down) : 위(아래)줄과 바꾸기

Alt + Shift + 방향키 : 블록 선택하기

Ctrl + Shift + Space : 메소드의 파라메터 목록 보기

Ctrl + Shift + O : 자동으로 import 하기

Ctrl + Shift + F4 : 열린 파일 모두 닫기

Ctrl + M : 전체화면 토글

Ctrl + Alt + Up(Down) : 한줄(블럭) 복사

Ctrl + , or . : 다음 annotation(에러, 워닝, 북마크 가능)으로 점프

Ctrl + 1 : 퀵 픽스

F3 : 선언된 변수로 이동, 메소드 정의부로 이동

Ctrl + T : 하이어라키 �b업 창 띄우기(인터페이스 구현 클래스간 이동시 편리)

Ctrl + O : 메소드나 필드 이동하기

Ctrl + F6 : 창간 전환, UltraEdit  Editplus Ctrl + Tab 과 같은 기능

 

----- 템플릿 사용 -----

sysout 입력한 후 Ctrl + Space 하면 System.out.println(); 으로 바뀐다.

try 입력한 후 Ctrl + Space 하면 try-catch 문이 완성된다.

for 입력한 후 Ctrl + Space 하면 여러가지 for 문을 완성할 수 있다.

템플릿을 수정하거나 추가하려면 환경설정/자바/편집기/템플릿 에서 할 수 있다.

 

----- 메소드 쉽게 생성하기 -----

클래스의 멤버를 일단 먼저 생성한다.

override 메소드를 구현하려면, 소스->메소드대체/구현 에서 해당 메소드를 체크한다.

기타 클래스의 멤버가 클래스의 오브젝트라면, 소스->위임메소드 생성에서 메소드를 선택한다.

 

----- organize import -----

자바파일을 여러개 선택한 후 소스->가져오기 체계화 해주면 모두 적용된다.

 

----- 소스 코드 형식 및 공통 주석 설정 -----

환경설정 -> 자바 -> 코드 스타일 -> 코드 포멧터 -> 가져오기 -> 프로파일.xml 을 불러다가 쓰면 된다.

또한 다수의 자바파일에 프로파일을 적용하려면 패키지 탐색기에서 패키지를 선택한 후 소스 -> 형식화를 선택하면 된다.

환경설정 -> 자바 -> 코드 스타일 -> 코드 템플리트 -> 가져오기 -> 템플리트.xml 을 불러다가 쓰면 된다.

 

----- 에디터 변환 -----

에디터가 여러 파일을 열어서 작업중일때 Ctrl + F6 키를 누르면 여러파일명이 나오고 F6키를 계속 누르면 아래로

Ctrl + Shift + F6 키를 누르면 위로 커서가 움직인다.

Ctrl + F7 : 뷰간 전환

Ctrl + F8 : 퍼스펙티브간 전환

F12 : 에디터로 포커스 위치

 

 

 

 

 

- 이클립스 자주쓰는 단축키 -

 

Ctrl + / : 주석 처리 - 한 라인/블록에 대해 주석 처리 (추가 및 제거)

Ctrl + L : 특정 라인으로 이동

Ctrl + F6 : Editor 창간의 이동

Ctrl + F7 : View 이동 메뉴

Ctrl + F8 : Prespectives 이동 메뉴

Ctrl + D : 한라인 삭제 - 커서가 위치한 라인 전체를 삭제 한다.

Ctrl + J : Incremental find 이클립스 하단 상태 표시줄에 Incremental find 라고 표시되어 한 글자자씩 누를 때 마다 코드내의 일치하는 문자열로 이동 , 다시 Ctrl + J 를 누르면 그 문자열과 일치 하는 부분을 위/아래 방향키로 탐색이 가능하다.

Ctrl + N : 새로운 파일 / 프로젝트 생성

Ctrl + 1 (빠른교정) - 문 맥에 맞게 소스 교정을 도와 준다. 변수를 선언하지 않고 썼을경우 빨간색 에러 표시되는데 이 단축키를 적용하면 변수에 맞는 선언이 추가 되도록 메뉴가 나타난다.

Ctrl + 0 : 클래스 구조를 트리로 보기

Ctrl + Space :  Cotent Assist - 소스 구문에서 사용 가능한 메소드, 멤버들의 리스트 메뉴를 보여준다.

Ctrl + PageUp , Ctrl + PageDown : Edit 창 좌우 이동 - Edit 창이 여러개 띄워져 있을경우 Edit 창간의 이동 한다.

Ctrl + Shift + Down : 클래스 내에서 다음 멤버로 이동

Ctrl + Shift + M : 해당 객체의 Import 문을 자동 생성 - import 추가 할 객체에 커서를 위치 시키고 단축키를 누르면 자동적으로 import 문이 생성

Ctrl + Shift + O : import 문을 자동 생성 - 전체 소스 구문에서 import 안된 클래스의 import 문을 생성해 준다.

Ctrl + Shift + G : 해당 메서드 / 필드를 쓰이는 곳을 표시 - View 영역에 Search 탭에 해당 메서드 / 필드를 사용하는 클래스를 표시 해준다.

Alt + Shift + R : Refactoring (이름변경) - Refactoing 으로 전체 소스에서 이름변경에 의한 참조 정보를 변경해 준다.

F3 : 선언 위치로 이동

F11 : 디버깅 시작

F8 : 디버깅 계속

F6 : 디버깅 한줄씩 실행(step over)

F5 : 디버깅 한줄씩 실행 함수 내부로 들어감 (step into)

F12 : Editor 창으로 이동 (Debugging 등 자동적으로 포커스가 이동 됐을경우 편리)

Alt + Up , Alt + Down : 줄 바꿈 - 해당 라인을 위 / 아래로 이동 시킨다.

Alt + Shift + S : Source Menu - 소스메뉴 (Import 추가 , Comment 추가 , 각종 Generator 메뉴) 가 나타난다.

Alt + Shift + Up : 블록설정 - 소스 코드를 블록 단위로 설정해 준다.

Alt + Shift + Down : 블록해제 - 소스 코드를 블록 단위로 해제한다.

Alt + Shift + J : 주석 생성 - 해당 메서드/클래스에 대한 주석을 템플릿을 생성해 준다.

sysout + (Ctrl + Space) : System.out.println() 문장 삽입 - 코드 템플릿을 이용해서 소스 구문을 추가

(Windows -> Preferences -> JAVA -> Editor -> Templates 에서 자주 쓰는 소스 구문을 추가시키면 <템플릿 이름> + (Ctrl + Space) 로 소스 문장을 완성 시킬 수 있다.)

Alt + Shift + Z : Surround With 메뉴 - try / catch 문이나 for , do , while 등을 해당 블록에 감싸주는 메뉴가 나타난다.

Ctrl + Shift + F : 코드 포맷팅 - 코드 내용을 문법 템플릿에 맞게 포맷팅(들여쓰기) 해준다.

Ctrl + Alt + Down: 한줄 복사후 아래에 복사 넣기 - Copy&Paste 대체하는 단축키. 커서가 위치한 라인을 복사해 밑줄에 생성해 준다.

Ctrl + Shift +X : 대문자로 변환

Ctrl + Shift + Y : 소문자로 변환

Ctrl + Shift + L : 모든 단축키의 내용을 표시해준다.

Ctrl + Shift + B : 현재 커서 라인에 Break point 설정

Ctrl + Shift + T : 클래스 찾기

Posted by 에시드 :

subversion 설치

2012. 4. 2. 09:37 from project

 

http://subversion.apache.org/

binary package → windows 환경에서

 

Win32Svn  http://sourceforge.net/projects/win32svn/

VisualSVN http://www.visualsvn.com/downloads/

 

다운로드 받은후 설치

 

Win32Svn 경우 정상적으로 설치 하였을 경우

svn --version 으로 설치를 확인
 

C:\Documents and Settings\Administrator.SCN12A01000301>svn --version
svn, 버젼 1.7.4 (r1295709)
    Mar  5 2012, 09:29:21에 컴파일 됨

Copyright (C) 2012 The Apache Software Foundation.
This software consists of contributions made by many people; see the NOTICE
file for more information.
Subversion is open source software, see http://subversion.apache.org/ 

저장소(repository) 접근 모듈(RA) 목록:

* ra_neon : Neon을 이용하여 WebDAV 프로토콜을 통해 저장소에 접근하는 모듈
  - 'http' 스키마를 처리합니다.
  - 'https' 스키마를 처리합니다.
* ra_svn : svn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저장소에 접근하는 모듈
  - Cyrus SASL 인증 이용
  - 'svn' 스키마를 처리합니다.
* ra_local : 로컬 디스크에 있는 저장소를 접근하기 위한 모듈
  - 'file' 스키마를 처리합니다.
* ra_serf : serf를 이용하여 WebDAV 프로토콜을 통해 저장소에 접근하는 모듈
  - 'http' 스키마를 처리합니다.
  - 'https' 스키마를 처리합니다.

C:\Documents and Settings\Administrator.SCN12A01000301>

 

1. SVN 저장소 만들기

D:\>md SvnRoot

D:\>cd SvnRoot

D:\SvnRoot>svnadmin create --fs-type fsfs "D:\SvnRoot\프로젝트명"

D:\Svnroot>

 

2. conf파일 수정

만들어진 저장소 폴더안의 conf폴더의 파일들을 수정한다.

환경설정

svnserve.conf 의 아래 주석을 다 해제한다.

anon-access = read  -- 익명사용자 접근권한 ( none , read , write )

auth-access = write   -- 인증사용자 접근권한 ( none , read , write ) 사용자권한이 폴더접근권한보다 우선시 적용

password-db = passwd  -- 계정/비밀번호 파일

authz-db = authz  -- 폴더 접근권한 설정 파일

realm = My First Repository   -- 저장소 이름

 

passwd

[users] 하위로 계정 = 비밀번호 형식으로 추가한다

 

authz

[group] 하위에 그룹명 = 계정,계정, ... 형식으로 그룹을 지정한다.

경로설정 예시

[/] 루트

[/abc] 루트하위 abc폴더

[프로젝트명:/abc] 저장소이름과 함께 사용한 예

폴더 권한 설정 예

@member = r  member 그룹에 대해 읽기 권한 설정

abc=rw abc 계정에 대해 읽기/쓰기 권한 설정

enemy= enemy 계정에게 접근권한 해제

 

3. 기동 
 


 D:\>svnserve -d -r "D:\SvnRoot"

cmd 창이 떠있는 상태로 서버기동이 되었다 해당 cmd창을 닫으면 꺼진다.


기동 확인을 위해 cmd 창을 하나 더 띄우고 체크아웃을 해본다.

D:\>svn checkout "svn://127.0.0.1/MyProject"
체크아웃된 리비전 0.

 

 

로그메시지를 남겨야만 커밋 가능하게 설정

SVN의 해당 저장소의 /hooks/에  pre-commit.bat이란 파일을 넣어준다.

 

@echo off

::

:: Stop commit that have empty log messages. 

::

setlocal

set "REPOS=%~1"

set "TXN=%~2"

set "SVNLOOK=c:\progra~1\subversion\bin\svnlook.exe"

:: Make sure that the log message contains some text.

for /f  "tokens=*" %%i in ('%SVNLOOK% log -t "%TXN%" "%REPOS%"') do set "LOGMSG=%%i"

if not "%LOGMSG%"=="" exit 0

echo. 1>&2

echo Your commit has been blocked because you didn't give any log message! 1>&2

echo  Please write a log message describing the purpose of your changes and 1>&2

echo then try committing again -- thank you 1>&2

exit 1


 

 

백업(dump) 및 복구

dump

1. cmd창을 실행

2. 백업하고자하는 저장소의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

3. "svnadmin dump 저장소이름 > 백업파일이름" 로 덤프생성

 

restore

1. cmd창 실행

2. 저장소 생성

3. 복구하고자 하는 저장소의 상위디렉토리로 이동

4. "svnadmin load 저장소이름 < 백업파일이름" 로 복구

-- 계정정보 및 폴더접근권한 설정파일은 따로 복구

 

 

 

'proje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I 프로젝트에서 JOB분류 명칭  (0) 2012.10.25
Samsung network Result code  (0) 2011.12.28
표준, 시스템 엔지니어링, 상호운용성, ITA  (0) 2011.12.21
Posted by 에시드 :